이 글은 5.1~5.15 까지 있었던
N과 A의 마인크래프트 건축 이야기를 적도록 한다.
시작은 한 서버의 강가
N은 돌다리를 건축하고 강가를 따라
마을을 건축하자는 제안을 한다.
A는 가장 간단한 건축물인
크고 아름다운 버섯을 이용하여
빨간 버섯집과 갈색 버섯집을 건축한다.
(라때는 버섯 심으려면
땅한칸 판 후, 물 부은 뒤 심어야 됬는데
요즘은 회백토라는게 생겨서
회백토 위에 심으면 되더라...)
건물이 복사가 된다구??
마크 명령어 clone을 이용해서
건물을 복사했다.
clone 명령어는
'clone (복사시작 좌표xyz) (복사완료 좌표 xyz) (붙여놓기 좌표 xyz)'
예를들어 좌표 (1,1,1)에서 (0,0,0)까지의 정육면체
건축물을 복사하여 (3,3,3)위치에 붙여놓고자하면
/clone 1 1 1 0 0 0 3 3 3
이라고 입력하면 된다.
이때 주의할 점은 시작점(3,3,3)으로 부터
어느 방향으로 붙여넣기가 시작되는지
주의할것!!
((3,3,3)에서 붙여넣기를 시작했는데
아랫방향으로 건축물이 들어가거나 함)
(직접 몸으로 체험하면서 경험하도록 하자...)
(해보면 무슨말인지 깨달을거임...)
참고로 마크 pe는 글쓰기 복붙이
안되기 때문에 커맨드 블럭을 이용하여
명령어를 이용하는게 편하다.
커맨드 블럭을 얻는 방법은
/give @자신ID command_block
명령어로만 얻을 수 있다.
N이 강가 반대편 도로와 철도를 짓고
농사를 지었다.
(강가 다리도 수정됨)
A는 낚시터와 우측의 다이빙장을 만들었다.
(더 높이 짓고 싶었는디
N이 낮은게 좋겠다고함ㄲㄲ)
낚시터와 다이빙장 각각의 상자속엔
낚시대와 겉날게가 각각 들어있다.
N이 지도를 만들었다.
지도를 여러게 이어 붙이면 저렇게
만들 수 있다는데 A는 아직 어떻게
하는지 모른다...
(머단해...)
오른쪽 지도는 N이 돌아다니면서
작성한 지도 부르기 쉽게
서부 중부 동부 남부 북부 숲 산지로
구분하였다.
N이 좌측 마을 도로를 확장하고
텍스처팩을 바꾸었다.
(뭐가다른지 찾아보세용)
(A는 귀차나서 안바꿈)
그 시각 A는 해안마을을 건축하였다.
대리석으로 바닥을,
하얀 콘크리트와 대리석기둥으로
건축물 벽을, 파란 지붕이 특징인 건축이다.
참고로 오버워치의 일리오스를
따라한 구조이다.
(때문에 해안 마을이 아닌
광장, 랜드마크 같은 느낌이 되었다.)
해안 마을을 완공한 A는
곧바로 버섯마을 관공작업에 들어갔고
결과물은 위 사진과 같다.
N이 셰이더를 적용하여 찍은 버섯마을 사진
확실히 간지난다.
이후 N이 버섯마을 옆 호수에
성을 짓자 하지만
A는 그 말을 무시하고 호수 바닥에
광장을 만들어 버린다.
지하도시 느낌으로
광물이 풍부해서 바닥을
다이아블록과 금블록으로 떡칠하고
지하 도시 광장 출구도로는
에메랄드 블럭으로 구성되었으며
절벽 양쪽에 방을 만들어
광물이 가득하고 제련도구가 가득한
방으로 구성하였다.
아직 건축중인 공동 주택
중앙은 원래 공원으로 하려 했으나
A의 변심으로
(A의 마음은 갈대랍니다~)
운동장이 되버렸다.
농구장, 배드민턴장, 풋살장
그리고 이를 감싸는 달리기 트랙으로
구성하였다.
(빨간색이 달리기 트랙임)
참고로 중앙에 있는
저 건축물이 가장 만들기 힘들었다.
(크기가 커서 수정할 때마다...
ㅗㅜㅑ)
저 건물에 있는 테라코타 무늬가
가장 만들기 힘든데...
테라코타의 무늬는
내가 동서남북 각각 다른 방향을
볼때마다 무늬가 다르게 설치된다...
(처음에 이거 몰라서 엄청 해맴...)
또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무늬가
또 바뀐다...
이상으로 5월 15일까지의
DNA 건축물
소개를 마치도록한다.
'우리가 같이했던 게임 > 마인크래프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A의 마인크래프트pe 서바이벌 -바다신전- (3) | 2021.07.18 |
---|---|
DNA의 마인크래프트pe -오버월드 탐험편- (3) | 2021.07.18 |
DNA의 마인크래프트 pe 서바이벌 일기 -지옥편- (7) | 2021.07.18 |
DNA의 서바이벌 일기 (6) | 2021.05.18 |
쿨쿡쿨의 마인크래프트 pe 스킨 자랑 (3) | 2021.05.16 |